| 
        		
 [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 작업 순서 ] 
  
(1) BIOS가 시스템 이상 여부 테스트 
  
(2) Booting 할 Drive 선택 
  
(3) 선택된 드라이브의 Master Boot Sector 읽어들임 
  
(4) MBR이 파티션 테이블을 읽어 Booting 할 파티션을 알아냄 
  
(5) Booting 파티션의 Boot Sector에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이 해당 운영체제를 읽어들임 
  
(6) Kernel 압축 해제 
  
(7) 장착된 Hardware 검사, 장치 드라이버 설정 
  
(8) Kernel 이 '/(root 파일시스템)'를 read-only로 mount 
  
(9) FileSystem 검사 
  
(10) '/(root 파일시스템)'를 read/write로 다시 mount 
  
(11) '/sbin/init' 실행 - Kernel이 최초로 실행하는 Program으로, PID가 '1' 
  
(12) /etc/inittab에서 init 실행을 위한 설정 내용 확인 
  
(13) /etc/rc.d/rc.sysinit 실행 - Hostname, Swapping, 시스템 점검, 커널 모듈 로딩 
  
(14) /etc/rc.d/rc 실행 : inittab에 정의된 Default Runlevel을 실행        - 실행될 runlevel의 디렉토리 존재 여부를 확인       - 실행시킬 프로세스 중 이미 실행중인 것을 종료시킴       - /etc/rc.d/rc[0-6].d 내의 'S'로 시작하는 스크립트를 실행 
  
(15) /etc/rc.d/rc.local : 매번 실행할 내용을 넣어둔다. 
  
(16) /etc/rc.d/rc.serial : 시리얼 포트를 초기화한다. 
  
(17) login (getty) / X-Window (xfm)          |